2231번: 분해합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
www.acmicpc.net
문제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된다.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. 물론,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. 반대로,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N = sc.nextInt();
int tmp = N;
int result = 0;
while(tmp > 0){
tmp--;
int com = tmp; //자기자신 저장
int unit = tmp; //각 자릿수를 구할 변수
while(unit !=0){
com+= unit % 10; //10으로 나누어 나머지 저장
unit /= 10; //10으로 나누어 몫 저장
} //자신의 수 + 각자릿수 다 더해짐
if(com == N){
result = tmp;
}
}
System.out.println(result);
}
}
자연수 N의 가장작은 생성자를 구하는 문제이다. 생성자가 되는지 N-1부터 1까지 검사해야한다.
그러므로 임시변수 tmp에 N을 지정하였다. 그리고 결과값을 0으로 초기화시켰다. 생성자는 N보다 낮은수이므로 while문을 돌려 tmp--;을 하여 N-1부터 1까지 검사를 한다. 생성자 자신과 각자릿수를 더해야하므로 변수를 생성한다.
N이 100의 자리라고 가정한다면 com값에 unit%10을 하여 나온 나머지값은 일의자리수가 된다. 그다음 unit /10 으로 나누어 다시 나머지 값을 구하면 십의 자리수가 된다. 이렇게 하여 com값이 N과 같으면 그값은 생성자 result값이 되는 것이다.
'백준 알고리즘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/1436/영화감독 숌/JAVA (0) | 2022.01.29 |
---|---|
백준/7568/덩치/JAVA (0) | 2021.11.19 |
백준/2798/블랙잭/JAVA (0) | 2021.11.15 |
백준/2447/별 찍기 -10/JAVA (0) | 2021.11.09 |
백준/10870/피보나치 수5/JAVA (0) | 2021.11.07 |
댓글